깃을 학원에서 처음 배울 때 git ignore에 대해서 배운 적이 있다
들으면서 뭔소리인가 ... 싶었는데
팀 프로젝트를 할때 react 파일들을 받고 yarn install을 하게 되면
git 페이지에 변동 사항이 수천개가 떠있는 게 너무 부담스럽고
나중에 gitpush를 또 따로 bash 창에 들어가서 하나하나 보내야 하는구나
하면서 슬퍼하던 와중에 학원 초반에 배웠던 git ignore가 생각이 났다
그때 당시에는 전혀 이해가 안 갔다가 어느 정도 git을 사용하고
왜 사용해야 하는지 깨달은 후에는 그 기능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react의 node_modules의 위치에 파일을 git 변화에 연동 안 하게 하는 방법을 araboza.
우선 파일 하나를 만들어줍니다.(확장자 없이) .gitignore
아 그리고!!! 반드시 .gitignore 파일은 git 파일 최 상위에 있어야 한다고 해요!!
이 깃 파일에서 작성할 때
#은 주석을 의미하며
디렉토리는 끝에 /를 붙여준다고 하고
! 는 예외처리할 때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내부 파일을 어떻게 설정하는지 커맨드를 설명해 보면
파일명 앞에 / 를 치는 경우 ex ) /kongdoleee.java
-해당 자바 파일만 제외한다는 의미입니다.
directory 뒤에 / 를 치는 경우 ex)node_modules/
-해당 directory 내부의 파일이 변해도 감지하지 않습니다.
*.확장자 를 치는 경우 ex) *.txt
-해당 확장자의 파일을 모두 감지하지 않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react 파일을 보통 git에서 다운로드하고 모두 yarn을 다운로드하게 되면
node_modules 에 수만 개의 파일이 추가되는데 이전에
gitignore 파일을 설정해 놓으면 다운로드하여도 순간순간 감지해서 그 파일들을 포함하지 않더라고요!!
덕분에 훨씬 편ㅡㅡㅡㅡ안 한 git 생활이 될 수 있었습니다.
'github! > github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lipse git에서 충돌 안나게 가져오는 방법 (0) | 2022.10.28 |
---|---|
깃허브 기본적인 사용법 (0) | 2022.10.21 |
react github 이용 시 알아야 할 부분. (0) | 2022.10.21 |
github를 이용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git bash, powershell, 터미날 커맨드! (0) | 2022.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