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3

Jpa를 이용해서 DB 연결하기!(2-1) CONTROLLER 처음 JPA를 이용해서 파이널을 하기로 결정했을때(세미때는 JDBC를 이용했다.) 이 관계도를 적어도 오십번은 쳐다봤던것 같다. JDBC 에서 COMMON DAO VO SERVLET 만 보다가 ENTITY뭐시기랑 DTO SERVICE CONTROLLER 등등이 생겨서 엄청 헷갈렸다.(사실 지금도 어색해서 친해지는 중 ^^..) JDBC를 이용할 때 내가 핵심이 되는곳은 SERVLET 이라고 생각했다. VO 같은 경우는 조연느낌이 강했고 DAO는 DB 에 연결할때 꼭 필요한 쿼리문을 만들어 넣었지만 그래도 모든 기능마다 생겨나는 서블릿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서블릿의 기능을 담당하는것이 Controller 이다 서버에 클라이언트(프론트에서)의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요청을 잘 받아서 백엔드의 S.. 2022. 12. 7.
프로젝트 과정에서 알고 있는 내용 정리(1. spring boot 생성하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능구현만 열심히하고 정작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거같아서 간단하게 아는 부분을 중간정리 해보고자 한다. 일단 가장 처음에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자. https://start.spring.io/ 위의 주소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만들 수 있다. 1.maven gradle 처음 학원에서 프로젝트는 maven 을 통해서 진행했다. 일단 maven greadle 중에서 gradle 이 더 성능적으로 우수하다?!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특히 AWS(아마존 웹서비스) 등에 서버를 올릴 때 Gradle 을 이용하면 maven 보다 훨씬 수월하게 올릴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maven 으로 한참 프로젝트를 만들던 도중 gradle로 .. 2022. 12. 7.
이메일 인증 (spring boot(maven) , jpa) 프로젝트 진행중 이메일 인증을 맡게 되었다. 이메일 보내주는 서비스는 구글 smtp를 이용함. 구현 방식은 db에 저장하지 않고 회원가입 화면에 해당 인증을 진행해야만 회원 가입이 진행되는 과정으로 만들었다. 밑에 참조표시한 블로그를 통해서 대부분 가져다 쓰면서 사용했고 사용하면서 오류가 났었던 부분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1. 구글 smtp 2단계 인증 후 앱 비밀번호 설정. 구글 아이디랑 비밀번호를 입력했는데 왜 안 계속 오류가 나지 했었는데 구글 아이디와 2단계 인증 후 앱 비밀번호를 입력 해줬어야 했다. 2단계인증을 진행하고 나면 앱 비밀번호를 설정이 가능한데. Google SMTP 를 등록하고 해당 앱 비밀번호를 받아서 email.propertied 에 구글 이메일과 받은 앱 비밀번호를 적.. 2022.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