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ct/React 강의 개념 정리

[React] import / export

by Dev dreamer 2023. 1. 23.

 

현재 진열 화면을 만들어 놓은 상태에서 데이터를 넣어보자.

 

현재 서버에 연결이 안되어 있기 때문에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왔다고 가정하에 진행

 

 

 

 

이렇게 심발에 넣을 데이터를 넣기위해 useState 를 선언했는데

이렇게 긴 데이터를 넣기는 부담스럽기에 

 

다른 js 파일로 빼둘 수 있다.

 

 

다른 js 파일에 변수에 데이터 값을 넣고 그 변수를 export default 를 통해 export 할 수 있고

그 데이터 값을 다른 js 파일에서 import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값을 import 한다면

import 작명 from '파일경로' 

를 통해서 가져온다. 

 

위와 같은 경우는 이렇게!!

 

이때 여러값을 export 하고 싶으면 ?? 이렇게 하면 된다.

 

export default 이 아닌 export 한 데이터 값을 쓰려고 import 하면!

이렇게 중괄호를 해줘야 한다.

 

아까 이용하려던 큰 데이터 값을 js 파일에서 옮겨서 export 하려면

다음과 같이 export default 를 해주고

 

이를 import 할때는 export 'default 가 있으니까 해당 변수명 설정 / 파일경로를 입력해 주면 된다.

 

외부에 큰 데이터 값을 옮겨놓고 import 해서 사용하기!

 

이 데이터의 구조 먼저 살펴보자

대괄호(array) 안에 중괄호에 데이터가 3개가 존재하는 형태이다.

 

요약을 해보자면

let data =[({},{},{}]; 이런 구조이다

 

{} 는 오브젝트 자료라고도 하는데

 

 

 

 

 

 

내가 여러가지 데이터를 한 변수에다가 보관하고 싶을때 array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숫자나 문자등을 array에 보관을 하고 그 데이터를 index 를 통해 가져다쓸 수 있는데

 

이러한 array 구조와 비슷한 데이터 형태가 있는데

array 구조는 바로 저장이 가능한 구조인 반면

{} object 자료 같은 경우에는 중괄호에 저장하는데

데이터 자료의 이름을 함께 저장해 주어야 한다.

object 자료형에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 값을 가져오고 싶다??

순서를 지정하는 것이 아닌

이런식으로 object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위의 대괄호(array)안의 중괄호(오브젝트 객체) 의 데이터는 어떻게 뽑아야 할까???

 

이러한 복잡한 자료에서 데이터를 뽑을때는 시작 기호를 잘 봐야 한다.

대괄호로 시작하므로 array 자료이다.

일단 array 자료에서 데이터를 뽑고 그 다음 중괄호(오브젝트 자료)에서 데이터를 뽑으면 된다.

 

 

 

 

 

 

 

일단 위의 데이터를 import 해서 담은 값을 console에 찍어보면

배열값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 첫번째 배열값을 출력해보면

이렇게 출력이 되며 마지막으로 하나의 값만 출력한다고하면(price_

 

이런식으로 값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코딩애플 React 강의 2-3 강 입니다.

https://codingapple.com/ 알아야할 핵심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시는 강의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