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32 React 에서 Map 사용하기! Map 이란 ? 파라미터로 전달된 함수를 사용해서 각 요소를 규칙에 따라 변환 후 새로운 배열 생성 위에 코드는 실제 배열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배열을 만들어 주고 해당 배열의 내부 값들을 map을 통해 코드 사이에 넣어준다 그리고 return 할때 ul 태그 내부에 넣어주면 아래와 같은 값들이 출력된다. 그런데 여기서 개발자 모드(f12)를 들어가면 오류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잘 생각해보면 우리가 java 에서 배운 map은 key 값과 value 값이 쌍으로 다녔다. react의 map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방금 위에서 썼던 코드는 key 값을 쓰지 않은 map이었고 이는 key 값을 썼을때 성능이 훨씬 향상되는 map을 쓰는 이유를 상쇄시킨다. 이때문에 관리자 모드에서 warning 을 .. 2022. 10. 21. React의 시작! React 환경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React 시작하기에 앞서 환경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국비 수업에서 들을 때 보고 잘 따라했는데 집에와서 노트북에 하려했을때 엄청 헤맸어요 ㅎㅎ. 1. 일단 node.js 가 깔려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cmd 창을 켜고 node -v 이렇게 입력 했을때 해당 node의 버전이 아래와 같이 나와 있으면 깔려 있는겁니다! 그리고 저 같은 경우에는 cmd 창 말고 깃허브를 설치하면 같이 설치되는 git bash를 사용했는데 CMD나 POWERSHELL, GITBASH 등등 약간의 커맨드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이 셋다 써도 된다고 합니다!. 2. CMD 창에서 VisualCode 파일에 접근해 준다. cmd가 저처럼 생소한 분들이 많을텐데 접근할때 필요한 저의 얕지만 꼭 필요한 지식을.. 2022. 10. 15. 이전 1 ··· 3 4 5 6 다음